맨위로가기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비디우스 카시우스는 2세기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반란자이다. 그는 130년경 시리아에서 태어나 기사 계급 출신 아버지와 아우구스투스의 후손인 어머니를 두었다. 초기 경력을 시작하여 루키우스 베루스의 파르티아 전쟁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166년 시리아의 황제 직속 군단장이 되었다. 175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스스로 황제를 선포했으나, 로마 원로원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진압되었다. 그의 반란은 3개월 6일 만에 실패로 끝났으며, 이후 그의 가족들은 처벌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시우스 씨족 - 디오 카시우스
    디오 카시우스는 22년에 걸쳐 80권의 《로마사》를 저술한 그리스계 로마인 역사가이며, 코모두스 황제 시대에 원로원 의원을 지내고 아프리카 속주와 판노니아 총독을 역임했으며, 그의 저서는 로마 제정 중기의 정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카시우스 씨족 -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는 기원전 1세기의 로마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의 주모자였으며, 필리피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했다.
  • 175년 사망 - 베티우스 발렌스
    베티우스 발렌스는 2세기경 헬레니즘 시대의 점성가로, 《안솔로지》를 통해 당시 점성술 기법을 집대성했으며, 바빌론, 헬레니즘, 헬레니즘 이집트 점성술 전통을 계승하고 스토아 철학의 결정론적 관점을 점성학에 반영했다.
  • 175년 사망 - 소 파우스티나
    소 파우스티나는 로마 황제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딸이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아내로, 남편과 함께 군사 원정에 동행하며 군인들의 사랑과 존경을 받았고, 사망 후 신격화되어 남편에 의해 기려졌다.
  • 2세기 이집트 - 바실리데스주의
    바실리데스주의는 2세기 알렉산드리아에서 바실리데스에 의해 창시된 영지주의의 한 분파로, 아브락사스를 숭배하고 마법과 신비로운 믿음을 가지며 이레나이우스 등에 의해 이단으로 비판받았다.
  • 2세기 이집트 -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은 1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활동한 로마 군단으로,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에 창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여러 전쟁과 임무에 참여하여 판노니아, 다키아, 브리타니아 등 다양한 지역에 배치되었다.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가이우스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존호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아우구스투스
로마자 표기Gaius Avidius Cassius
출생기원후 130년경
출생지키로스
사망기원후 175년 7월
사망지아이깁투스
배우자볼루시아 베티아 마이키아나
자녀아비디우스 헬리오도루스
아비디우스 마이키아누스
아비디우스 알렉산드라
가문카시우스
아비디우스
아버지가이우스 아비디우스 헬리오도루스
어머니율리아 카시아 알렉산드라
통치
작위로마 제국의 제위 찬탈자
재위 기간기원후 175년 4월경 - 7월
직업황제 대리
기타 정보
분야로마 장군, 찬탈자

2. 어린 시절

아비디우스 카시우스는 130년경 시리아 속주 키로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가이우스 아비디우스 헬리오도루스로, 기사 계급 출신이었다. 헬리오도루스는 하드리아누스 황제 밑에서 라틴어 서신 담당 비서 격인 Ab epistulisla 직책을 수행했으며, 이후 137년부터 142년까지 로마령 이집트의 총독인 Praefectus augustalisla를 지냈다.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그는 뛰어난 연설 능력만으로 기사 계급이 오를 수 있는 최고위직 중 하나인 이집트 총독 자리에 올랐다고 한다.

카시우스의 어머니는 율리아 카시아 알렉산드라였다. 그녀는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고손녀인 유니아 레피다의 증손녀로, 황실 가문과 혈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또한, 아버지인 가이우스 율리우스 알렉산데르 베레니키아누스를 통해 헤로데 대왕의 후손이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 덕분에 카시우스는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와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혈통을 잇고 있었다. 더불어 그는 반세기 전에 로마에 의해 폐위된 콤마게네 왕국의 마지막 왕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의 먼 후손이기도 했다.

3. 초기 경력

카시우스는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 재위 기간에 경력을 시작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154년에 재무관 직에 올랐을 것으로 추정된다. 피우스 재위 말년(138년–161년)에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에 배치된 군단 중 하나의 '레가투스 레기오니스'(군단장)가 되었으며, 늦어도 161년에는 '레가투스'였던 것이 확실하다.

카시우스는 공동 황제 루키우스 베루스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재위 시 발발한 루키우스 베루스의 파르티아 전쟁 기간 중 제3 갈리카 군단의 군단장으로 복무하며 164년경 빠르게 명성을 얻었다. 165년에 그는 제3 갈리카 군단을 이끌고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내려가 두라 에우로포스에서 파르티아군을 격퇴했다. 같은 해 말, 카시우스와 그의 군단은 남쪽으로 진격하여 메소포타미아를 건너 티그리스 강 유역의 쌍둥이 도시, 강 우안의 셀레우키아와 좌안의 파르티아 수도 크테시폰을 공격하여 약탈하였다. 크테시폰 점령 후, 그는 볼로가세스 4세의 궁전을 불태웠다. 셀레우키아는 로마군에 항복 의사를 밝혔음에도, 카시우스는 현지인들이 협의를 어겼다고 주장하며 도시를 파괴했다.

이 무렵 카시우스의 군단은 보급품 부족에 시달렸고, 165년에 안토니누스 역병으로 알려진 질병의 첫 징후가 나타났다. 카시우스는 전리품을 가지고 시리아로 복귀하여 로마에 전황을 보고했고, 그 공로로 원로원 의원으로 승격되었다. 그의 군사적 성공은 상당 부분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 덕분이었는데, 베루스 자신도 유능한 지휘관이었지만 더 뛰어난 장군에게 군사 임무를 맡기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166년 5월, 카시우스는 로마 외부에 주둔하는 동안 보좌 집정관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루키우스 베루스와 카시우스는 파르티아를 상대로 새로운 군사 작전을 개시하여 티그리스 강 북쪽 지역을 건너 메디아를 침공했다. 이 시기 카시우스가 인더스 강까지 진격했다는 거짓 소문이 로마에 돌기도 했다. 166년 말, 카시우스는 시리아의 황제 직속 군단장으로 임명되었다.

4. 부콜리 전쟁

166년 시리아 속주 총독이 되었으며, 172년에는 이집트에서 발생한 부콜리(la)의 반란을 진압했다.

5. 찬탈

175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가 심각한 지병으로 사망했다는 잘못된 소식을 들은 카시우스는 스스로 황제임을 선포하였다. 그는 마르코만니 전쟁 중 군대를 지휘했던 판노니아 지역의 아우렐리우스 군대가 자신을 황제로 추대했다고 주장했다. 일부 기록에서는 아우렐리우스의 아내인 소 파우스티나가 카시우스를 속이거나 설득했다고 전하기도 한다. 파우스티나는 남편 아우렐리우스가 아직 어린 아들 콤모두스를 두고 사망할 경우, 제위 찬탈자가 나타날 것을 우려하여 자신이 선택한 인물인 카시우스가 다음 황제가 되도록 반란을 부추겼다는 것이다. 카시우스가 반란을 일으킨 정확한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그의 황제 즉위를 언급하는 문서가 발견된 5월 3일 이전에 반란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옥시링쿠스 파피루스의 한 내용은 카시우스가 이르면 3월이나 4월부터 이집트의 지지를 확신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아우렐리우스는 처음에는 반란 소식을 숨기려 했으나, 소문이 군대에 널리 퍼지자 연설을 통해 이를 알리기로 결정했다. 연설의 정확한 내용은 전해지지 않지만,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가 기록한 바에 따르면 (비록 자유로운 구성으로 여겨지지만), 아우렐리우스는 절친한 친구의 배신에 대해 슬퍼하며, 만약 로마 원로원과 로마군이 카시우스를 더 나은 지도자로 여긴다면 기꺼이 제위를 넘기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또한 그는 카시우스가 살해되거나 자살하지 않기를 바라며, 자신이 관용을 베풀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고 기록되었다. 한편,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는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는 아우렐리우스가 조언가들 사이에서 평화 위원회를 구성했다고 전한다.

카시우스는 반란 초기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 그는 먼 왕가의 후손이라는 점과 파르티아 전쟁 및 부콜로이 전쟁에서의 승리 덕분에 동방 속주, 특히 그의 고향인 시리아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그는 이집트, 시리아, 시리아 팔라이스티나, 아라비아 페트라이아 등의 속주에서 지지를 확보하여, 이들 지역에 주둔한 7개 군단의 잠재적 군사력을 확보했다. 카시우스는 이집트에 작전 거점을 두었으며, 중요한 군사 중심지인 안티오키아와 키로스에도 주요 거점을 마련했다. 당시 이집트의 프라이펙투스였던 가이우스 칼비시우스 스타티아누스는 이집트 주민들에게 카시우스의 즉위를 축하하라는 칙령을 반포하기도 했다. 이 칙령의 일부가 현재까지 남아있다.

그러나 로마 제국의 중요한 곡창 지대인 이집트를 포함한 동방의 주요 지역을 장악했음에도 불구하고, 카시우스는 반란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를 얻는 데 실패했다. 로마 원로원은 신속하게 카시우스를 '민중의 적'(hostis publicus)으로 선포했으며, 카파도키아 속주의 총독 푸블리우스 마르티우스 베루스는 반란에 명백히 반대하며 아우렐리우스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카시우스는 딸 아비디아 알렉산드라를 티투스 클라우디우스 드리안티아누스 안토니우스와 결혼시켜 리키아의 유력 가문인 리키니우스 일족과 연줄을 맺었다. 드리안티아누스의 아버지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아그리피누스는 집정관을 지낸 인물이었다. 드리안티아누스가 반란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일부에서는 그를 카시우스의 공모자로 보기도 한다. 드리안티아누스와 아비디아 알렉산드라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사면받았지만, 드리안티아누스의 재산은 그가 사망한 후 몰수되었다.

제국 전역의 많은 귀족들도 반란에 반대했는데, 대표적으로 헤로데스 아티쿠스는 카시우스에게 "미쳤구나"(emanes|에마네스grc)라는 단 한 단어만 적힌 서신을 보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수도 로마는 혼란에 빠졌고, 아우렐리우스는 판노니아 인페리오르 총독 가이우스 베티우스 사비니아누스 율리우스 호스페스에게 병력을 보내 도시를 안정시키도록 지시해야 했다.

아우렐리우스는 야지게스족과의 군사 작전을 중단하고 마르코만니 전쟁을 서둘러 마무리 지어야 했다. 일부 야만 부족들이 아우렐리우스에게 지원을 제안했지만, 그는 이를 모두 거절했다. 아우렐리우스는 군대를 모아 카시우스를 진압하기 위해 동방으로 진군할 준비를 했다. 곧 아우렐리우스가 카시우스보다 훨씬 많은 군단을 보유하여 군사적으로 우위에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아우렐리우스의 진군 소식이 이집트에 전해지자, 한 백부장이 카시우스를 살해하고 그의 머리를 아우렐리우스에게 보냈다. 그러나 아우렐리우스는 머리를 보기를 거부하고 매장하라고 명령했다. 카시우스는 175년 7월 말 이전에 살해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집트가 175년 7월 28일에 아우렐리우스를 다시 황제로 인정했기 때문이다. 카시우스의 반란은 3개월 6일간 지속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그의 얼굴이 새겨진 주화는 발행되지 않았다.

6. 찬탈의 여파

카시우스가 죽은 뒤, 푸블리우스 마르티우스 베루스는 신속히 시리아의 통제권을 장악하고, 카시우스의 모든 서신들을 불태워버렸다.[1] 카시우스의 사망 소식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전해진 뒤에도, 아우렐리우스는 동방을 방문하기로 여전히 마음을 먹었다. 그는 조언자들과 함께 같이 떠났는데, 아내인 파우스티나와 동행했고, 그녀는 동행 중에 하랄라(Halala)라고 하는, 티아나에서 남쪽 20km 거리에 있는 카파도키아 남부의 한 마을에서 사망하고 말았다. 이 마을은 그녀를 기리며 파우스티노폴리스로 이름이 개칭되었다. 파우스티나가 죽은 뒤, 아우렐리우스는 원로원에 서신을 보내어, 카시우스의 지지자들에 대한 보고서를 요청했으며, 특히나 아우렐리우스의 이름으로 이미 여러 번의 보복이 이루어졌기에 그가 이들에 대하여 유혈 사태가 있는 처벌을 바라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렇게 살해당한 자들 중에는 카시우스의 아들 아비디우스 마이키아누스가 있었다. 아우렐리우스는 카시우스의 또 다른 아들 아비디우스 헬리오도루스에 대해 추방령을 내렸다. 카시우스의 딸 아비디아 알렉산드라와 그녀의 남편은 리키아 출신의 원로원 의원 클라우디우스 티티아누스로 여겨지는 '처삼촌'의 보호 아래에 놓여졌다.

7. 개인사 및 가족

디오는 카시우스를 "좋은 사람"이라고 높게 평가하며, 그의 유일한 결점은 아버지 헬리오도로스가 뛰어난 언변 기술 덕분에 프라이펙투스 아우구스탈리스 직위를 얻었다는 점뿐이라고 언급했다. 카시우스는 갈리카 제3군단 지휘관 시절 엄격한 규율주의자라는 평가를 받았다.

카시우스는 키루스(Cyrrhus) 출신으로, 아버지 가이우스 아비디우스 헬리오도루스(Gaius Avidius Heliodorus, 100년경 - 142년 이후)와 어머니 율리아 카시아 알렉산드라(Julia Cassia Alexandra, 105년경 - 몰년 불명)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율리아는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직계 후손으로, 카시우스는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혈통을 잇고 있었다.

카시우스는 루키우스 볼루시우스 마에키아누스의 딸 볼루시아 베티아 마에키아나(Volusia Vettia Maeciana, 135년경 - 175년 이후)와 결혼했으며, 최소한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는 자녀가 더 있을 수도 있다고 암시한다):


  • 아비디우스 헬리오도루스 – 장남으로, 황제의 명으로 추방되었다. (다른 자료에서는 반란 진압 후 처형되었다고도 한다.)
  • 아비디우스 마에키아누스 – 차남으로, 반란이 진압된 후 살해되었다.
  • 아비디아 알렉산드라 – 딸로, 반란 진압 후 남편 티티우스 클라우디우스 드리아티아누스 안토니우스(Titius Claudius Dryantianus Antonius)와 함께 삼촌의 보호 아래 살도록 강요받았다. 아비디아와 클라우디우스는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 * 클라우디우스 카시우스 아그리피누스(Claudius Cassius Agrippinus) - 로마 원로원 의원이 되었고 "ad honores admissus"되었다.
  • * 클라우디아 마에키아나 알렉산드라(Claudia Maeciana Alexandra).
  • * 클라우디아 베티아 아그리피나(Claudia Vettia Agrippina).
  • * 클라우디아 드리아티야 플라토니스(Claudia Dryantilla Platonis) - 204년 세쿨라레스 축제에 참가했으며, 로마 집정관이거나 "adlectus inter consulares"였던 코르넬리우스 옵타투스(Cornelius Optatus 또는 Optatianus)와 결혼했다.
  • 발루시아 라오디케(Volusia Laodice, 165년경 출생) - 퀸투스 티네이우스 사케르도스(Quintus Tineius Sacerdos, 160년경 - 219년 이후)와 결혼했다.


카시우스의 후손들은 로마 제국 내에서 명맥을 이어갔다.

관계이름정보
손녀티네이아(Tineia)195년경 출생. 푸피에누스 황제의 장남 티베리우스(티투스) 클로디우스 푸피에누스 풀케르 막시무스(Tiberius (Titus) Claudius Pupienus Pulcher Maximus, 195년경 - 224년/226년 이후 혹은 235년 이후)와 결혼.
증손자루키우스 클로디우스 티네이우스 푸피에누스 바시우스(Lucius Clodius Tineius Pupienus Bassus)220년 - 250년 이후. 오위에나(Oviena)라는 여성과 결혼.
현손막시무스 티네이우스 오위니우스 칵투스(Maximus Tineius Ovinius Castus)240년경 - 274년경.
내손오위니우스 티네이우스 타르테니우스 노니우스 아티쿠스(Ovinius Tineius Tarrutenius Nonius Atticus)290년경 생존. 막시마(Maxima)라는 여성과 결혼.



이들의 자손은 동로마 귀족이나 서고트 왕족의 혈통으로 이어져 후세까지 존속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